오늘은 사실 가장 먼저 다뤘어야 할 강아지를 데려오로 했다면 어디서 데려올지에 대해 써보겠습니다.
예전에는 펫샵, 가정분양, 동물 보호 단체를 통한 입양이 있었는데요. 사실상 요새는 가정분양이 없어졌죠. 그건 법의 개정에 따른 변화인데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들을 강아지 커뮤니티, 지인들에게 본인이 키우던 반려견의 새끼 강아지들을 직접 분양했었는데 동물 생산업은 반려동물을 번식시켜 판매하는 영업으로 지차체의 허가를 받아야만 분양을 할 수 있습니다. 가정 내에서 키우던 반려견을 번식하여 분양을 하는 것과 관련해 농림축산식품부의 허가받지 않은 돈을 받으며 하는 가정분양은 모두 불법이라고 규정하기 때문이죠.
고려해야 할 점은 하나 더 있습니다. 강아지 성향과 보호자의 성향이 맞아야 된다는 건데요. 내향형인 I의 보호자와 외향적인 E 강아지의 조합은 기빨릴 수도 있다는 점 ㅎㅎ (농담) / 하지만 활동량이라던지 집안 환경이라던지 고려할 부분은 많지요.
신중하게 생각하고 가족들의 동의를 얻었다면
강아지를 어디서 데려올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크게 동물 보호 단체를 통한 입양, 펫샵에서 분양 2가지로 나뉠 거 같은데요.
오늘 알아볼 건 동물보호단체와 입양을 위한 절차 소개입니다.
동물 보호 단체
국가동물보호단체와 비영리 민간 동물보호단체가 있는데 국가 동물보호센터는 각 시군구에서 운영을 하고 있고 민간 동물 보호단체는 카라, 동물자유연대, 비글구조네트워크 등 다양합니다.
입양 절차
포인핸드 앱에서는 국가동물보호단체, 비영리 민간 동물보호단체의 가족을 기다리는 아이들을 만나보실 수 있어요.
SNS를 하는 분들이라면 각 시 보호소의 봉사자, 담당자가 운영하는 계정, 민간 동물보호단체가 운영하는 계정에서 임시보호, 입양 강아지들을 볼 수 있는데요. 실시간은 아니지만 정보를 제일 빨리 받아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입양 절차는 국가 동물보호단체는 담당자의 안내에 따라 신청서를 작성하고 날짜와 시간을 정해 직접 보호소에 방문하여 상담 후 입양 계약서를 작성하여 데려옵니다.
민간 보호단체 한 곳의 경우 입양신청서 폼을 작성 후 보내면 사전심사를 거쳐 통과한 경우 인터뷰 후 집 환경, 가족 구성원의 동의 확인 등을 거쳐 정해진 기간의 입양 전제 임시보호를 하며 단체와의 소통을 통하여 2차 인터뷰 등을 통해 입양 여부 확정을 진행합니다. 이처럼 까다로운 이유는 재파양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보호소에서 가족들을 기다리는 강아지, 고양이, 소동물들은 계획 없이 혹은 어렸을 때 예쁜 모습만 보고 , 아픈데 비용이 많이 들어, 나이가 들어서, 이사 문제, 가족의 털 알레르기 등 이유는 많지만 보호소에 있는 아이들의 90% 이상은 어느 누구 집의 귀여운 반려동물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픽사베이
'반려견 생각 > 기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사회화 중요성과 시기, 교육방법 (0) | 2023.08.14 |
---|---|
강아지 심장사상충약 꼭 먹어야 할까? (0) | 2023.08.07 |
동물등록증 발급 방법 및 제도 총 정리 (0) | 2023.08.06 |
강아지 키우기 전 필요한 용품들 (0) | 2023.08.04 |
반려동물을 키우기 전 고려해야 할 것들 (0) | 2023.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