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반려동물에게 자주 발생하는 다빈도 진료 항목 100개에 대한 진료비 부가세가 면제된다는 소식 들어보셨나요? 매번 내는 병원비에 약값까지 부담스러웠던 보호자님들에게 희소식이죠. 개인적으로 강아지의 MRI, CT 등 영상진단 검사 비용이 높아 부담스러워 면제 항목에 들어있는 걸 보고 다행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반려동물 양육가정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는데요. 예방접종, 중성화 수술 등 질병 예방 목적의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 동물병원 진료비에 10%의 부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면제 대상을 '치료' 목적의 진료항목 100개도 확대한다고 해 알아본 면제 시작은 언제인지, 100개의 항목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동물병원비 부가세 면제 언제부터?
10월 1일부로 시행되는 동물병원비 일부가 부가세 면제가 되는데요.
100개 진료항목을 우선적으로 선정해 부가세 면제를 시행하고 추후 단계적으로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부가세 면제 항목
진찰·투약·검사 등 동물병원에서 행해지는 기본적인 진료행위와 내과, 피부과, 안과, 외과, 응급중환자의학과, 치과 등 진료분야별 다빈도 질병을 폭넓게 포함하였으며, 동물의료업계에서는 금번 부가세 면제 대상 확대에 따라 부가세 면제 수준이 현재 40% 수준에서 90% 수준으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진료용역의 분류 | 현행 (질병 예방 목적의 진료용역) | 확대(안)(질병 예방 목적외 치료 목적 추가) | 추가항목수 |
진료 및 입원 | - | 진찰, 입원관리 | 2개 |
접종 및 투약 | 예방접종, 내, 외부 구충약 | 예방접종, 조제/투약 | 2개 |
검사 | 병리학적 검사 |
병리학적 검사 | 3개 |
영상진단의학적 검사 (X-ray, 초음파, CT, MRI 등) | |||
내시경검사 (내시경, 검이경 등) | |||
계통별 기능검사 (순환기계, 신경계, 안과계, 근골격계 등) | |||
증상에 따른 처치 | - | 구토, 설사, 기침, 소양증, 발작, 황달, 파행, 호흡곤란, 혈변, 혈뇨, 바비 증상에 따른 처치 | 11개 |
질병의 예방 및 치료 | -수술 : 중성화 수술 | 내과/ 피부과 : 외이염, 개 아토피성 피부염, 위장염, 식이 알러지, 기관지염, 방광염, 췌장염, 피부사상균증, 점액성 이첨판막변성, 만성신부전, 비심인성 폐수종, 부신피질기능항진증, 고혈압, 당뇨병, 단두종증후군, 간질, 폐렴, 급성신부전, 심상사상충증 | 19개 |
안과: 결막염, 유루증, 고양이 허피스 각막염, 각막궤양, 백내장, 건성각결막염, 안검염, 각막염(비궤양성), 포도막염, 녹내장, 각막이상증, 제3안검 탈출증, 고양이 호산구성 각결막염, 첩모중생, 초자체변성,상공막염, 안검종양, 첩모난생, 안검내번·외번 | 19개 | ||
외과: 중성화 수술, 무릎뼈 안쪽 탈구, 고양이 회음요도루 창냄술, 유선 종양, 추간판 질환, 위내 이물, 제내 탈장, 자궁축농증, 전방십자인대 파열, 항문낭염, 고관절 이형성증, 장내 이물, 담낭점액낭종, 비장종양, 골절, 방광결석, 식도 이물, 담석증, 드레싱 | 18개 | ||
응급중환자의학과: 위장관 출혈(혈토, 혈변), 심인성 폐수종, 빈혈, 백혈구 이상, 고양이 비대성 심근병증, 고혈당, 복막염, 흉수, 혈소판 감소증, 중독, 저혈당, 위장관 폐색, 핍뇨, 부정맥, 급성호흡곤란증후군, 응고장애, 혈전질환, 심폐소생술, 쇼크처치, 산소공급 | 20개 | ||
치과: 구내염, 치은염, 고양이치하흡수병변, 치근단농양, 발치, 스케일링 | 6개 | ||
추가 항목수 합계 | 100개 |
김세진 농식품부 반려산업동물의료팀장은 "부가세 면제 범위가 확대 적용되면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진료비 부담이 상당히 완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하면서 "진료비 부담 완화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동물 의료계와 긴밀히 협조하여 이행 점검 등 제도의 연착륙을 기하겠다"라고 밝혔다.
정보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사진 출처 : 픽사베이
'반려견 생각 > 질병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여름철 초파리 조심! 안충 증상 및 예방방법 (0) | 2023.08.14 |
---|---|
강아지 예방접종 A to Z / 추가접종 및 항체가 검사 (0) | 2023.08.09 |